장애노인 재활운동 프로그램 비교 분석 연구: 한국, 미국,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일본의 장애노인 재활운동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장애노인을 위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미국, 일본의 6개 대학 및 기관의 장애노인 재활운동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세 항목(프로그램 형태 및 내 용, 운영 및 지도, 시설 및 행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은 장애 […]
노인라이프스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라이프스킬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탐색하여 노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신체⋅심리⋅사회적 영역의 복합적인 차원을 통해 노년기의 삶에 필요한 라이프스킬을 통합적 모델로 제시하였다. 구성개념을 정립한이후, 최종적으로 노인라이프스킬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5세~84세의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라이프스킬에 관한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노인 9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보다 […]
노인라이프스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라이프스킬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탐색하여 노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신체⋅심리⋅사회적 영역의 복합적인 차원을 통해 노년기의 삶에 필요한 라이프스킬을 통합적 모델로 제시하였다. 구성개념을 정립한이후, 최종적으로 노인라이프스킬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5세~84세의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라이프스킬에 관한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노인 9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보다 […]
The effect of coach–athlete fi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in team sport: Role of trust in c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rust in coach, coach–athlete fi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I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trust in coach on relationships, in relation to coach–athlete fi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A total of 190 soccer players (N = 190, male; 135, female; 55)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
The effect of coach–athlete fi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in team sport: Role of trust in c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rust in coach, coach–athlete fi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I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trust in coach on relationships, in relation to coach–athlete fi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A total of 190 soccer players (N = 190, male; 135, female; 55)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demand–control and effort–reward imbalance models on burnout among sport coaches: The moderating role of over-commitment and coaching efficacy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urnout through an integration of the demand–control (DC) and effort–reward imbalance (ERI) model in the context of sport coaching.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tegrate these two models to explain burnout experienced by sport coaches,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
COVID-19로 인한 신체활동 참여 변화에 따른청소년의 좌식행동과 범불안장애와의 연관성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behavior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according to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fte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52,723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obtained a complete Korea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1. To identify the association […]
Physical activity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and COVID-19 pandemic: Results from the South Korea‘s 2022 Report Card o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ackground: With intensifying air pollutant levels and the COVID-19 pandemic, physical inactivity of Sou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ay be threatened. Therefore, monitoring and surveillance of physical activity (PA) and relevant indicators are important for policy making pertaining to health promotion. Report Card is a thir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A-related behaviors among and the sources of […]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parent dyads: 2017-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at of their parents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activity (PA) level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from 2017-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used. The KNHANES uses a complex, multi-stage probability sample design. Data included 875 Korean adolescents aged 12 to 18years and their parents. Adolescents were asked how […]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목적]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은 전문인의 능력과 함께 심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전문인 교육에서 핵심적인 개념이자 목표로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인 교육의 특징적인 모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매트릭스(PIMPET)’를 제안하여 체육교사가 형성하게 되는 전문직 정체성의 모습을 조망해 보는 데 있다. [방법] 본 […]